2025년 부산시 병원안심동행서비스, 더욱 든든해졌어요!

✅ 병원안심동행서비스란?
“문 앞부터 약국까지, 병원 동행을 함께합니다”
병원에 가야 하는데 혼자 이동하기 막막했던 적 있으셨나요?
‘병원안심동행서비스’는 병원 이용 및 이동에 어려움이 있는 시민을 위해,
차량과 전문 동행매니저를 함께 지원해주는 부산시의 돌봄서비스입니다.
- 집에서 출발해 병원 접수·진료·수납·약국·귀가까지
- ‘Door to Door’ 방식으로 전 과정 동행
- 11개 지역자활센터에서 동행매니저를 양성·배치
🧑🤝🧑 누가 이용할 수 있나요?
항목 | 기준 |
---|---|
📌 지원대상 | 병원 이동 및 이용에 어려움이 있는 시민 |
🎯 포함대상 | – 1인 가구 – 돌봄 공백이 있는 2인 이상 가구 (노인부부·한부모 등) |
💬 예시 | “거동은 가능하지만 진료 접수·수납이 불편한 경우” “자녀가 타지역에 거주해 동행이 어려운 경우” 등 |
※ 실제 거주 상황에 따라 ‘1인 가구와 유사한 돌봄 공백 상태’이면 신청 가능합니다.
💵 이용요금 및 지원 기준
항목 | 요금 |
---|---|
기본요금 | 1시간당 15,000원 (초과 30분당 7,500원) |
중위소득 70% 이하 | 회당 2,000원만 부담 |
중위소득 초과자 | 시간당 10,000원 부담으로 완화 |
이용횟수 | 연간 최대 12회 (1회 4시간 기준, 초과 시 2회로 계산) |
🕒 어떻게 이용하나요? 운영 시간과 횟수
- 이용 한도: 연간 12회 (1회당 최대 4시간, 초과 시 2회로 계산)
- 이용 시간: 평일 09:00 ~ 18:00
🏢 서비스 제공 기관 & 차량 확보 내역
- 11개 지역자활센터에서 동행매니저 양성
- 의료동행 차량은 2025년 현재 22대 운영 중입니다
→ 세정나눔재단, 공공기관 협력으로 차량 추가 확보 (총 22대)
📌 병원안심동행서비스 이용 절차
- 주소지 읍·면·동 주민센터 방문 신청
- 자활센터에서 일정 조율 및 동행매니저 배정
- 차량 및 동행매니저와 출발, 병원 이용 전 과정을 지원
- 종료 후 요금 정산
👉 중위소득 기준 및 상세 절차는 해당 주민센터에서 안내받으실 수 있어요.
❤️ 이용자 반응 – 만족도가 높아요
- “병원에 가는 자체가 부담이었는데, 동행해 주셔서 정말 든든했어요.” (부산진구 어르신)
- “병원 가는 길이 외롭지 않았어요. 동행매니저 분과 얘기하며 마음도 편해졌습니다.”
🤝 왜 이 서비스가 중요한가요?
- 부산은 전국 광역지자체 중 유일하게 차량 기반 동행서비스 제공
- 1인 가구 증가와 고령화로 외로움과 의료접근성 문제가 복합적으로 대두
- 병원안심동행서비스는 사회적 고립 완화, 의료 접근성 강화, 안전성 확보를 한 번에 해결하는 정책
📌 병원안심동행서비스 요약 정리
항목 | 내용 |
---|---|
대상 | 병원 이용·이동에 어려움 있는 돌봄 공백 가구 (1인·노인부부 등) |
요금 | 중위소득 70% 이하: 회당 2,000원 / 그 외: 시간당 10,000원 |
이용 시간/한도 | 평일 09:00~18:00 / 연 12회 (1회 4시간) |
차량수 | 22대 (2025년 기준) |
신청처 | 주소지 읍·면·동 주민센터 |
절차 | 신청 → 자활센터 배정 → 동행서비스 제공 → 비용정산 |
문의 | 부산시 복지정책과 또는 해당 자활센터 |
☎ 문의 및 신청하기
💡 병원안심동행서비스 안내📍 주소지 읍·면·동 주민센터
📞 부산시 복지정책과 (051‑888‑3192)
🌐 부산시 공식 홈페이지에서 ‘병원안심동행’ 검색하여 신청 가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