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월 시행! 사업주 육아휴직 지원금 전액 지급”

사업주 육아휴직 지원금 제도, 드디어 현실 반영 개선!

사업주 육아휴직 지원금 제도 7월 1일부터 달라지는 내용 안내 메인 이미지

✋ 이런 상황, 겪어보셨나요?

“직원 육아휴직 잘 다녀오라고 했는데…
돌아온 지 몇 달 만에 그만두겠대요.”

소규모 식당, 카페, 미용실, 사무실을 운영하는 소상공인 사장님이라면
이런 일이 남 얘기처럼 들리지 않으실 겁니다.

문제는 그다음이죠.
정부에서 받기로 한 육아휴직 지원금의 절반도 못 받는다는 사실.

하지만 드디어!
2025년 7월 1일부터는 직원이 육아휴직 후 자발적으로 퇴사해도
사업주는 전액 지원금을 받을 수 있도록 제도가 바뀝니다.


🔍 지금까지의 제도, 어디가 불합리했을까?

육아휴직 지원금 구조는 아래와 같았습니다.

지급 시점지급률조건
육아휴직 중50%3개월마다 신청 가능
복직 후 6개월 지속 고용 시나머지 50%조건 충족 시 일괄 지급

📌 하지만 복직 후 6개월 이내에 직원이 자진 퇴사하면?
남은 50%를 받을 수 없었습니다.

즉, 사업주가 아무 잘못이 없어도 지원금 절반 손해.
그동안 많은 소상공인 사업자분들이 불만을 제기해온 이유였습니다.


✅ 2025년 7월부터 어떻게 달라지나요?

고용노동부는 2025년 5월 28일 대통령령을 개정했고,
7월 1일부터 정식 시행됩니다.

변경 핵심 요약

구분기존변경 후
복직 후 자진 퇴사 시사업주 50%만 지급100% 전액 지급!
퇴사 조건사업주 책임 無 시에도 불이익사업주 귀책 없으면 불이익 없음
적용 대상육아휴직 및 육아기 단축 근로자 모두유지

즉, 직원이 복귀 후 6개월 안에 스스로 퇴사해도
사업주는 기존처럼 전액 지원금을 받을 수 있게 된 것입니다.


💡 사업주 지원금, 얼마까지 받을 수 있나요?

지원금은 직원 1인 기준 월 단위로 지급되며, 최대 연 870만원까지 가능합니다.
대상은 **우선지원대상기업(중소기업 포함)**으로, 육아휴직 30일 이상 부여 시 적용됩니다.

자녀 연령1개월 지급액연간총액
육아휴직 지원금만12개월 이내▲(특례) 첫 3개월 200만원
▲이후 육아휴직 기간 30만원
870만원
만12개월 초과30만원360만원
남성육아휴직 인센티브
(추가지원)
10만원120만원
육아기 근로시간 단축지원금일반반30만원360만원
육아기 단축 인센티브
(추가지원)
10만원120만원

✅ 특례는 만 12개월 이하 자녀의 경우에 적용되며,
3개월 이상 연속 육아휴직을 부여한 경우 월 200만원씩 받을 수 있습니다.

또한, 남성 육아휴직이나 최초 육아기 단축 허용 사업장에는 인센티브도 붙습니다.


📌 지원금 신청은 이렇게 합니다

1️⃣ 육아휴직 시작 후 3개월마다 50%씩 분할 신청
2️⃣ 복직 후 6개월 이상 근속 시 나머지 50% 일괄 신청
3️⃣ 단, 2025년 7월부터는 자진 퇴사여도 전액 수령 가능

📍 육아휴직 종료일로부터 12개월 이내에 신청해야 하며,
관할 고용센터에 신청서 및 증빙 서류를 제출해야 합니다.


⚠️ 이런 경우에는 제한됩니다

  • 근로자 평균보수 121만원 미만
  • 임금 체불·산재 사고로 명단 공개된 사업주
  • 국가·지자체·공공기관
  • 사업주 가족 (배우자, 직계 존비속)
  • 육아휴직 특례를 이미 받은 경우 대체인력지원금과 중복 불가

🤝 소상공인을 위한 진짜 제도 개선

사실, 직원이 육아휴직을 신청한다고 하면
작은 사업장에서는 막막함부터 앞서죠.
인력 대체는 어렵고, 지원금은 나중에 제대로 받을 수 있을지 불안합니다.

이번 제도 개선은 그 부담을 정부가 일부 대신 짊어져준 셈입니다.
지원금을 줄 이유가 없는 상황에서 ‘절반 손해’ 보는 구조를 없앴다는 점에서
실질적이고, 반가운 변화입니다.


🔗 공식 정보 보기


✅ 함께 보면 좋은 정보

👨‍👩‍👧 소상공인 고용보험료 지원사업

최대 80%까지 지원!

자세히 보기

🚚 소상공인 배달 택배비 지원사업

최대 30만원까지 지원!

자세히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