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미국과 한국 간의 무역 관세 협상이 극적으로 타결되었습니다.
미국 측이 예고했던 상호 관세 25% 부과안이 15%로 낮춰지고,
한국산 자동차에도 같은 수준의 관세가 적용됩니다.
한편, 쌀·소고기 시장은 추가 개방 없이 현 상태 유지로 결정되어 국내 농업계의 우려는 일단락됐습니다.
자동차 관세 15%로 인하 합의
2025년 7월 31일, 김용범 대통령실 정책실장은 공식 브리핑을 통해
“8월 1일부터 예정됐던 미국의 상호 관세 25%는 관세 협상으로 15%로 낮춰지고,
한국산 자동차 관세도 같은 수준으로 조정됐다”고 밝혔습니다.
이는 미국이 강하게 추진했던 보호무역 조치의 완화이며,
한국의 주력 수출 품목 중 하나인 자동차 산업에 긍정적인 신호로 받아들여지고 있습니다.
농축산물 시장 추가 개방은 ‘수호 성공’
무역 관세 협상 과정에서 미국 측은 농산물 시장, 특히 쌀과 소고기의 개방을 강력히 요구했습니다.
하지만 식량 안보와 농업의 민감성을 고려해
국내 쌀·소고기 시장은 추가 개방하지 않기로 양국이 합의했습니다.
이는 국내 농가에 있어 안도의 한숨을 내쉴 수 있는 결정이자,
정부의 자국 농업 보호 의지를 보여주는 대목입니다.
3,500억 달러 규모 대미 투자 합의
이번 협상 결과로 한국은 미국에 총 3,500억 달러(약 487조 원)를 투자하게 됩니다.
구체적으로는 다음과 같습니다.
- 한미 조선 협력 펀드 1,500억 달러
: 선박 건조, MRO(정비·보수·유지), 조선 기자재 등 조선업 생태계 전반에 투자 예정 - 반도체·이차전지·원전·바이오 등 전략 산업에 2,000억 달러 투자 예정
: 한국 기업들이 전략적 파트너로 참여하며 미국 진출의 교두보 확보
에너지 수입 확대도 포함
한국은 미국산 LNG(액화천연가스)를 포함한 에너지 제품 1,000억 달러 규모로 수입하기로 합의했습니다.
이는 미국 에너지 산업의 수출 확대는 물론
한국의 에너지 안정성 확보에도 기여할 전망입니다.
🇺🇸 트럼프 “한국은 미국 제품 전면 수용”
도널드 트럼프 전 대통령은 자신의 SNS ‘트루스소셜’을 통해
“한국은 미국산 자동차, 트럭, 농산물 등을 적극 수용하기로 했다”
고 밝히며, 이번 합의가 양국 무역 구조에 실질적인 변화를 가져올 것임을 시사했습니다.
또한 그는
“이재명 대통령이 2주 내 백악관을 공식 방문해 양자 회담을 가질 예정이며,
해당 자리에서 추가 합의를 발표할 것” 이라고 언급했습니다.
이번 관세 협상의 핵심 요약
항목 | 내용 |
---|---|
한국산 제품에 대한 미국 관세 | 15%로 인하 (기존 예고 25%) |
미국산 제품에 대한 한국 관세 | 면제 또는 기존 유지 |
쌀·소고기 시장 개방 | 추가 개방 없음 |
대미 투자 총액 | 3,500억 달러 |
에너지 수입 규모 | 1,000억 달러 |
한미 조선펀드 | 1,500억 달러 |
전략 산업 투자펀드 | 2,000억 달러 |